티스토리 뷰

반응형
안녕하세요. 이번에 알아볼 것은 매운탕 끓이는 방법이에요.
매운탕은 생선과 채소, 양념을 넣고 얼큰하게 끓여 먹는 국물 요리예요.
집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어서 가족과 함께 따뜻하게 즐기기 좋아요.
비린내를 잡고, 칼칼하면서도 시원한 맛을 내는 것이 중요해요.
지금부터 순서대로 따라하면 누구나 맛있는 매운탕을 만들 수 있어요!

재료 준비하기

매운탕에 들어가는 기본 재료를 준비해요.
  • 생선 (볼락, 조기, 우럭 등) 5~6마리
  • 무 250~270g
  • 양파 1개
  • 대파 1~2대
  • 청양고추 2~3개
  • 미나리 또는 쑥갓 한 줌
  • 콩나물 한 줌 (선택)
  • 두부 180g (선택)
  • 다진 마늘 2큰술
  • 생강 조금
  • 고춧가루 3~4큰술
  • 된장 0.5~1큰술
  • 국간장 1큰술
  • 맛술 1큰술
  • 소금, 후추 약간
  • 물 1.2~1.5L
  • (선택) 바지락, 표고버섯, 다시마

  • 생선 손질하기

    비늘, 내장, 아가미를 깨끗하게 제거해요.
  • 생선의 비늘을 벗기고, 내장과 아가미를 꼭 빼주세요.
  • 깨끗이 씻은 뒤, 소금을 살짝 뿌려 1~2시간 재워두면 비린내가 줄어요.

  • 육수 끓이기

    무, 대파, 다시마로 시원한 육수를 만들어요.
  • 냄비에 무, 대파 뿌리, 다시마, 물을 넣고 5분 정도 끓여요.
  • 다시마는 오래 끓이면 쓴맛이 날 수 있으니 5분 후 건져내요.

  • 양념장 만들기

    고춧가루, 된장, 마늘 등으로 얼큰한 양념장을 만들어요.
  • 고춧가루 3~4큰술, 된장 0.5~1큰술, 다진 마늘 2큰술, 다진 생강 약간, 국간장 1큰술, 맛술 1큰술, 후추를 섞어 양념장을 준비해요.
  • 양파와 불린 건고추를 믹서에 갈아 넣으면 더 칼칼해져요.

  • 매운탕 끓이기

    재료와 양념을 넣고 중불에서 끓여요.
  • 육수가 끓으면 무, 생선, 콩나물, 양념장을 넣어요.
  • 뚜껑을 열고 중불에서 10분 정도 끓여 비린내를 날려요.
  • 불순물이 올라오면 국자로 걷어내요.
  • 양파, 청양고추, 두부, 표고버섯, 바지락, 대파를 넣고 5분 더 끓여요.
  • 간을 보며 소금으로 맞춰요.
  • 마지막에 미나리나 쑥갓을 넣고 한 번 더 끓이면 완성이에요!

  • QnA

    Q. 어떤 생선이 매운탕에 좋아요?
    A. 볼락, 조기, 우럭, 연어 등 살이 단단한 생선이 좋아요.
    Q. 비린내를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    A. 내장과 아가미를 꼭 제거하고, 소금에 재워두거나 된장, 맛술, 생강을 넣으면 비린내가 줄어요.
    Q. 고추장은 꼭 넣어야 하나요?
    A. 고추장은 넣지 않고 고춧가루만 사용하면 국물이 더 깔끔해요.
    Q. 육수는 꼭 만들어야 하나요?
    A. 무, 대파, 다시마로 간단하게 육수를 내면 국물이 더 시원해져요.
    Q. 콩나물이나 두부는 꼭 넣어야 하나요?
    A. 없어도 되지만, 넣으면 국물이 더 시원하고 맛있어요.
    Q. 양념장은 미리 만들어야 하나요?
    A. 미리 만들어 두면 더 편하게 끓일 수 있어요.
    Q. 얼큰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    A. 청양고추와 고춧가루를 넉넉히 넣으세요.
    Q. 매운탕이 너무 맵게 됐어요. 어떻게 하나요?
    A. 무, 두부, 콩나물을 더 넣으면 매운맛이 줄어요.
    Q. 국물이 탁해요. 왜 그런가요?
    A. 고추장이나 간장, 액젓을 많이 넣으면 국물이 탁해질 수 있어요. 고춧가루와 된장만 사용하세요.
    Q. 남은 매운탕은 어떻게 보관하나요?
    A. 식힌 후 냉장 보관하고, 다시 끓여 먹으면 돼요.

    결론

    오늘은 집에서 쉽게 매운탕 끓이는 방법을 알아봤어요.
    생선 손질만 잘하면 비린내 없이 시원하고 얼큰한 매운탕을 만들 수 있어요.
    고추장 대신 고춧가루와 된장을 사용하면 국물이 더 깔끔해져요.
    재료와 양념을 순서대로 넣고, 중간중간 간을 보면서 끓이면 누구나 맛있게 만들 수 있어요.
    따뜻한 매운탕 한 그릇으로 가족과 즐거운 식사 시간 보내세요!
    반응형
    반응형